티스토리 뷰
장애 판정은 장애정도에 따라서 등급별로 판정을 받게 되고 장애 정도에 따른 등급별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장애인 등급은 1등급~6등급까지 분류되어 있으며, 장애등급에 따라서 장애수당이 지급됩니다.
지급되는 장애수당은 소득과 재산의 정도 따라 다르게 지급됩니다.
통상적으로 장애인 혜택은 1~3등급까지는 비슷한 수준으로 지원이 되고, 4~6등급의 혜택이 비슷하한 수준으로 지급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장애등급별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애등급에 따라 지원정책이 다양하지만, 스스로 챙기지 않으면 놓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장애인 지원은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정책은 많습니다. 지원대상이 되시려면 장애등급과 개인이나 가구의 소득에 대해서 진단이 필요합니다.
복지로 사이트에서는 전반적인 장애인 혜택을 포하한 복지정보를 알아보실수 있고 등급에 따른 혜택을 서울시 장애인 복지를 검색하셔서 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셔야 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지원] -[ 맞춤조회]를 선택해주시면 장애등급별 혜택을 자세하게 보실수 있답니다. 장애인 등록절차, 장애인인권침해 신고 등의 업무도 보실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18세이상, 남, 지체 장애 1 등급 혜택 장애등급별 혜택>
맞춤조회를 통해서 연령, 성별, 장애유형, 장애등급을 선택하신 후 검색을 누르시면 다양한 혜택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습니다. 연금 등 소득지원은 장애인 연금, 경증 장애 수당, 장애아동수당, 장애아 보육료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18세 이상 지체 장애 1 등급 혜택은 기초수급자에 해당이 되신다면 기초급여 204,010원과 부가급여 80,000원, 서울시 추가지원 30,000원의 합계액인 314,010원을 지원받을수 있습니다.
주거지원은 거주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 장애인 취업지원, 장애인 운전 연습장 지원등의 혜택을 받으실수 있답니다.
만 6세 이상 ~ 만65세 미만의 장애인복지법상 1~3급 등록 장애인 중 국민연금공단에서 실시(방문조사)하는 장애인활동지원 인정점수가 220점 이상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원이 됩니다. 2015. 7.1일 부터 신청자격 3급까지 확대 실시하고 있답니다.
집 없이 월세 생활을 하는 중증장애인에게 전세주택에 입주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여 주거안정에 도움이될 수 있도록 하는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자격은 장애등급이 1∼2 급 세대주로 전세주택 입주자 신청 당시 월세 거주 가구이며 소득수준이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및 차상위 계층 수준일 경우에 지원 대상이 됩니다.
이용대상은 혼자 힘으로 이동이 불편한 1,2급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기타 휠체어를 이용하는 1,2급 중증장애인과 외국인은 휠체어 이용탑승시 가능합니다.
24시간 운행하며 주간은 07:00 ~ 22:00 (15시간) 야간 – 22:00 ~ 익일 07:00 (9시간) 운행을 합니다.
18세이상 지체 1급의 대상으로 지원되는 혜택으로 장애인 차량 취득세, 자동차세 면제가 됩니다. 승용차 개별소비세 면제, 차량 구입시 도시철도 채권 구입면제,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공공시설 이용요금 면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경감, 증여세 경감, 상속세 경감 등의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각종 할인 혜택으로는 철도, 도시철도 요금감면, 유선전화요금 할인, 이동통신요금 할인, 항공요금 할인, 연안여객선 여객운임 할인, 국.공립공연장 관람료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장애인 자동차 검사수수료 할인등의 혜택을 받으실수 있으세요.
철도, 도시철도 요금은 모든 등록장애인 및 1~3급 장애인의 보호자 1인이 감면 대상자입니다. 무궁화, 통근열차는 50% 할인 혜택을 받을수 있어요. 철도(ktx,새마을호)는 1~3등급 까지는 50% 할인, 4~6등급 까지는 30%할인이 적용됩니다.
도시철도는 전액 면제가 된답니다. 장애인 복지카드 또는 장애인 등록증을 제시하시면 이용시 면제가 됩니다.
기타지원으로는 승용차 lpg연료 사용허용, 장애인 콜택시, 무료법률 구조제도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장애인 복지카드를 발급 받은 뒤 받을수 있는 혜택들이 많이 있습니다.
소소한 금액이 될수도 있지만, 할인이 누적되면 무시하지 못할 금액이 될수 있습니다.
작은 혜택 하나라도 꼼꼼히 챙기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장애등급별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았답니다.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년 다자녀 혜택 (안내) (0) | 2017.03.01 |
---|---|
이마트 에브리데이 영업시간 지점별(안내) (0) | 2017.02.28 |
코스트코 연회비 & 이용방법(안내) (0) | 2017.02.21 |
해피포인트 사용처 외식 쇼핑 이용(안내) (0) | 2017.02.21 |
장애인 혜택 2017년 복지 정보(안내) (0) | 2017.02.20 |